[박경은 정신분석,대상관계 금요스터디]5.페어베언-도덕적 방어
부모의 결핍을 이해하기 위해, 내적 대상을 내재화하여,
내적 심리구조를 가지고 방어하던 유아는
부모의 나쁜 측면을 분리시켜 심리내면으로 내재화한다.
부모를 좋다고 여기고 부모의 나쁨을 자신의 것으로
돌리는 것, 대상이 가져야 할 죄책감을 아동 자신이 가지게 된다
나쁜 것을 부모가 아니고 그 자신이고, 유아는 자기 사랑이 나쁘다고 느낀다
억압이 실패하면 공포증적, 강박증적, 히스테리적, 편집증적인 방어를 취한다
억압이 실패할 때 나타나는 또 다른 방어가 도덕적 방어 (초아자의 방어, 죄책감의 방어)다.
오늘도 나는 페어베언을 만나 행복을 누린다.
'가득이심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경은 모멘텀 트레이닝]나로살기 (0) | 2018.05.17 |
---|---|
[박경은 성장문답]떠나보내는 마음에는 담겨주는 대상이 필요하다 (0) | 2018.05.14 |
[박경은 모멘텀 트레이닝]탐색 (0) | 2018.05.10 |
[박경은 성장문답]시기심과 질투가 자기대상 경험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0) | 2018.05.07 |
[박경은 정신분석,대상관계 금요스터디]4.페어베언-반복강박 (0) | 2018.05.04 |